치매인구 100만 시대입니다. 65세 이상 인구 10%가 치매라는 통계가 있습니다. 경도인지장애까지 포함하면 그 숫자는 더 늘어납니다. 치매는 이제 주변에서 흔히 볼 수 있는 질병이 되었습니다. 오늘은 치매 발병율을 높이는 치매원인 7가지를 알아보겠습니다.

1. 심혈관 질환
심혈관 질환은 일반적으로 심장 주위 동맥에 플라크가 쌓여 발생합니다(예 : 죽상동맥경화증). 이로 인해 뇌로 가는 혈류가 느려지고 뇌졸중의 위험이 높아지게 됩니다. 심혈관 질환은 심장마비나 뇌졸중으로 이어질 수 있으며, 이는 치매 위험을 높이는 치매원인 중 하나입니다. 흡연, 당뇨병, 고혈압 등 심혈관질환 유발 원인들도 치매원인이 될 수 있습니다.
2. 대기오염
대기오염도 치매를 유발시킬 수 있는 치매원인 중 하나입니다. 영국의 한 연구는 대기 오염 농도가 높은 지역에 사는 노인은 공기가 깨끗한 곳에서 사는 사람들보다 치매에 걸릴 확률이 1.4배 더 높다고 발표하였습니다.
3. 높은 콜레스테롤
일부 연구는 콜레스테롤 수치가 높을 수록 알츠하이머 병에 걸릴 가능성이 높다는 것을 밝혀냈습니다. 중년의 높은 콜레스테롤 수치는 비만, 고혈압 및 당뇨병 등 만성질환과 관련이 있고 이는 치매의 위험을 높이는데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합니다. 콜레스테롤 자체가 문제를 일으키는 것인지에 대해서는 아직 명확하지 않지만 비만, 당뇨병 등으로 인해 체중이 증가하고 혈액이 끈적해지는 것은 혈류를 늦추거나 차단할 수 있기 때문에 치매 원인이 될 수 있습니다

4. 외로움과 우울증
10년 간의 추적연구결과 신체적으로 건강한 사람들이라도 외로움을 계속해서 느낀다면 치매에 걸릴 확률이 높아질 수 있다고 합니다. 외로움을 느낀다고 보고한 80세 미만의 사람들을 연구한 결과 그렇게 느끼지 않는 사람들보다 치매에 걸릴 확률이 2배나 높았습니다.
우울증과 치매의 상관관계에 대해 명확하게 밝혀진 것은 없습니다. 그렇지만 우울증을 앓고 있거나 과거에 우울증을 앓은 적이 있다면 치매에 걸릴 가능성이 더 높을 수 있습니다. 우울증은 약물치료 등이 도움이 될 수 있으므로 14일 이상 기분이 우울하거나 극단적인 생각이 든다면 의사나 전문가와 즉시 상담하는 것이 좋습니다

5. 가공육과 고탄수화물 위주의 식단
전분이 많거나 가공된 식품은 건강한 식품이 아니기 때문에 이 둘을 함께 먹으면 치매에 걸릴 확률이 높아질 수 있습니다. 프랑스 연구진은 치매에 걸린 사람들이 햄, 페퍼로니와 같은 가공육을 감자와 같은 고탄수화물과 함께 먹는 경우가 많다는 것을 밝혀냈습니다. 건강한 삶을 사는 사람들은 고기를 섭취할 때에 과일, 채소와 함께 즐기는 모습을 확인할 수 있었다고 합니다. 가공식품은 치매 발병률을 높일 수 있는 치매원인이 될 수 있으므로 치매 없는 건강한 삶을 원한다면 고기를 드실 때에는 과일, 채소를 곁들여 먹는 것이 좋습니다.
6. 머리 부상
단순히 한 번의 경미한 외상성 뇌 손상으로 인하여 치매에 걸릴 가능성이 높아지는 것은 아닙니다. 그러나 뇌에 반복적인 충격이나 더 심한 낙상은 치매에 걸릴 확률을 2배~4배로 늘릴 수 있는 치매원인이 될 수 있습니다. 머리를 부딪쳐 기절하거나, 시야가 흐려지거나, 어지럽거나, 혼란스럽거나, 메스꺼움을 느끼거나, 빛에 민감해지면 병원에 방문하도록 하세요.

7. 불면증
많은 사람들이 때때로 잠을 잘 자지 못합니다. 자주 깨거나 충분한 수면을 취하지 못하는 것은 알츠하이머병을 포함한 치매를 발병, 악화시킬 가능성이 높은 치매원인입니다. 건강한 수면 습관을 유지하는 것이 도움이 될 수 있으므로 저녁에는 알코올, 카페인, 전자제품을 피하고 규칙적인 취침 시간을 만들어 보세요 침실에서는 몸과 마음을 이완시킬 수 있는 수면 습관을 만드는 것이 좋습니다.

관련글 읽기
치매인구 100만 시대입니다. 65세 이상 인구 10%가 치매라는 통계가 있습니다. 경도인지장애까지 포함하면 그 숫자는 더 늘어납니다. 치매는 이제 주변에서 흔히 볼 수 있는 질병이 되었습니다. 오늘은 치매 발병율을 높이는 치매원인 7가지를 알아보겠습니다.
1. 심혈관 질환
심혈관 질환은 일반적으로 심장 주위 동맥에 플라크가 쌓여 발생합니다(예 : 죽상동맥경화증). 이로 인해 뇌로 가는 혈류가 느려지고 뇌졸중의 위험이 높아지게 됩니다. 심혈관 질환은 심장마비나 뇌졸중으로 이어질 수 있으며, 이는 치매 위험을 높이는 치매원인 중 하나입니다. 흡연, 당뇨병, 고혈압 등 심혈관질환 유발 원인들도 치매원인이 될 수 있습니다.
대기오염도 치매를 유발시킬 수 있는 치매원인 중 하나입니다. 영국의 한 연구는 대기 오염 농도가 높은 지역에 사는 노인은 공기가 깨끗한 곳에서 사는 사람들보다 치매에 걸릴 확률이 1.4배 더 높다고 발표하였습니다.
3. 높은 콜레스테롤
일부 연구는 콜레스테롤 수치가 높을 수록 알츠하이머 병에 걸릴 가능성이 높다는 것을 밝혀냈습니다. 중년의 높은 콜레스테롤 수치는 비만, 고혈압 및 당뇨병 등 만성질환과 관련이 있고 이는 치매의 위험을 높이는데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합니다. 콜레스테롤 자체가 문제를 일으키는 것인지에 대해서는 아직 명확하지 않지만 비만, 당뇨병 등으로 인해 체중이 증가하고 혈액이 끈적해지는 것은 혈류를 늦추거나 차단할 수 있기 때문에 치매 원인이 될 수 있습니다
4. 외로움과 우울증
10년 간의 추적연구결과 신체적으로 건강한 사람들이라도 외로움을 계속해서 느낀다면 치매에 걸릴 확률이 높아질 수 있다고 합니다. 외로움을 느낀다고 보고한 80세 미만의 사람들을 연구한 결과 그렇게 느끼지 않는 사람들보다 치매에 걸릴 확률이 2배나 높았습니다.
우울증과 치매의 상관관계에 대해 명확하게 밝혀진 것은 없습니다. 그렇지만 우울증을 앓고 있거나 과거에 우울증을 앓은 적이 있다면 치매에 걸릴 가능성이 더 높을 수 있습니다. 우울증은 약물치료 등이 도움이 될 수 있으므로 14일 이상 기분이 우울하거나 극단적인 생각이 든다면 의사나 전문가와 즉시 상담하는 것이 좋습니다
5. 가공육과 고탄수화물 위주의 식단
전분이 많거나 가공된 식품은 건강한 식품이 아니기 때문에 이 둘을 함께 먹으면 치매에 걸릴 확률이 높아질 수 있습니다. 프랑스 연구진은 치매에 걸린 사람들이 햄, 페퍼로니와 같은 가공육을 감자와 같은 고탄수화물과 함께 먹는 경우가 많다는 것을 밝혀냈습니다. 건강한 삶을 사는 사람들은 고기를 섭취할 때에 과일, 채소와 함께 즐기는 모습을 확인할 수 있었다고 합니다. 가공식품은 치매 발병률을 높일 수 있는 치매원인이 될 수 있으므로 치매 없는 건강한 삶을 원한다면 고기를 드실 때에는 과일, 채소를 곁들여 먹는 것이 좋습니다.
6. 머리 부상
단순히 한 번의 경미한 외상성 뇌 손상으로 인하여 치매에 걸릴 가능성이 높아지는 것은 아닙니다. 그러나 뇌에 반복적인 충격이나 더 심한 낙상은 치매에 걸릴 확률을 2배~4배로 늘릴 수 있는 치매원인이 될 수 있습니다. 머리를 부딪쳐 기절하거나, 시야가 흐려지거나, 어지럽거나, 혼란스럽거나, 메스꺼움을 느끼거나, 빛에 민감해지면 병원에 방문하도록 하세요.
7. 불면증
많은 사람들이 때때로 잠을 잘 자지 못합니다. 자주 깨거나 충분한 수면을 취하지 못하는 것은 알츠하이머병을 포함한 치매를 발병, 악화시킬 가능성이 높은 치매원인입니다. 건강한 수면 습관을 유지하는 것이 도움이 될 수 있으므로 저녁에는 알코올, 카페인, 전자제품을 피하고 규칙적인 취침 시간을 만들어 보세요 침실에서는 몸과 마음을 이완시킬 수 있는 수면 습관을 만드는 것이 좋습니다.
관련글 읽기